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75)
[Web] 웹 소켓이란 웹 소켓은 HTML5부터 추가된 신기술로, 2011년 IETF에 의해 RFC 6455로 표준화된 기술이다. HTTP가 아닌 WS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이를 지원하는 브라우저와 서버가 필요하다. 크롬이나 엣지같은 최신 브라우저는 이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있으며, 서버 프레임워크로는 Java Spring, NodeJS 등이 지원을 하고있다. 이 기술이 나오기 전까지는 HTTP를 사용하여 실시간 데이터 전송을 구현을 했는데, 이 중 하나가 폴링이라는 기술로서, HTTP가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향하는 단방향 통신이였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서버에서 새로운 업데이트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는 단점이 존재했다. 하지만 이러한 단점은 웹 소켓이 나오면서 해소가 되었다. 웹 소켓은 한 번의 연결이 있다면, 그 이후로는 ..
[임베디드] 02. 임베디드 특성 임베디드는 크게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 정교한 기능성 실시간 연산 낮은 생산단가 저전력 작은 팀이 타이트한 데드라인을 가지고 계획!!!! 먼저 기능적인 부분을 보고 가자. 대개 많은 기기들은 그들에 맞는 정교한 알고리즘이나 하나의 기기에서 다양한 알고리즘들을 쓸 일이 있을 것이다. 폰의 경우에는 카메라, 전화 등등의 기능들을 지원을 해줘야 할 것이다. 또 이런 과정에선 사람의 목소리를 디지털화 하기 위해 DSP를 사용하기도 할 것이다. 즉 하나의 칩만 쓰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맞는 칩들을 넣을 경우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정교한 UI를 제공해줄 필요가 있다. 예로 들어 휴대전화의 경우 최근은 터치 스크린에 맞는 UI를 제공해줄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는 실시간 연산이다. 모든 연산들은 데드라인이 있을..
[임베디드] 01. 임베디드 개요 임베디드란? 임베디드 컴퓨팅 시스템은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모든 일반적인 목적을 가지지 않는 즉 특정한 일을 하기 위한 기기라고 보면 된다. 예로 들어서 PC는 그 자체로 임베디드 컴퓨팅 시스템이라고 하지 않지만 임베디드 컴퓨팅 시스템을 빌드해낼 수 있다. 반대로 TV같은 곳에 들어가는 컴퓨터들은 PPT나 그런 것을 실행하거나 할 순 없다. 하지만 우리는 TV에 들어가는 기능들을 프로그래밍해서, 영화를 선택하면 그 영화가 나올 수 있게 하거나 심지어 넷플릭스를 볼 수 있게 해주는 등, 영상과 관련된 일을 할 수 있도록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임베디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그려낼 수 있다. 초록색은 그 자체로 컴퓨터이고, CPU와 IO 그리고 메모리가 버스를 이용해서 연결된다. 이 대 각 Input과 Out..